
멀티 테넌시 환경에서 single GPU를 다양한 테넌트(task)가 나눠서 사용하는 경우는 아래와 같이 GPU 공간 자체를 여러 태스크가 나눠서 사용하는 Spatial Sharing 경우와, 한번에 하나의 태스크만 실행되지만 시간 분할하여 여러 태스크를 실행하는 Temporal Sharing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1. Spatial Sharing 말 그대로 하나의 GPU의 '공간'을 분할하여 다양한 task가 실행될 수 있게끔 하는 방법이다.spatial isolation을 구현하기 위해 NVIDIA에서는 MPS와 MIG라는 방법을 도입하였다. - Multi-Process Service(MPS)는 소프트웨어적으로 GPU안에서 여러 태스크가 동시에 실행될 수 있게끔 하는데, 메모리 격리는 지원하지 않..
일단 ssh로 로컬에서 서버 들어갈때부터 x11 fowarding해줘야함mobaxterm으로 설정하면 바로 된다서버내에서도 x11 설정필요 (구글링 ㄱㄱ)그리고 echo $DISPLAY로 서버내에서 값뜨는지 확인! 이후 서버 내에서 도커 돌릴때 docker run \ ${PARAMS} \ --env="DISPLAY" \ --network host \ --user ${USER}:${USER} \ -t \ -i \ --volume="$HOME/.Xauthority:/root/.Xauthority:rw" \ ${IMAGE_NAME} 이런식으로 인자를 주면됨
image: 템플릿container: image의 인스턴스 docker run -> image로 컨테이너 만들어서 실행 (새로운 컨테이너 만듦)docker start 컨테이너ID : 특정 container실행docker stop 컨테이너ID: 특정 container 멈춤 따라서,docker stop 컨테이너 ID 후,docker start 컨테이너 ID하면 컨테이너가 실행된다이후 셸로 접속하려면 docker attach 컨테이너 ID하면된다! 기존에 작업했던 컨테이너 내용 그대로 작업할 수 있다 run하지말기!! exit으로 나가지말기!

아무데도 안나와서 걍 내가 정리한다 선배님이 그먼씹 mcu에서 SPI통신하라고 하셔서 삽질하면서 아래 화면까지 도달하는데는 성공했다.. 하지면 나는 개멍청이이기떄문에 저 화면까지가도 아무것도 할수없었다.. 그래서 이포스트를 작성함 일단 반도체나 하드웨어관련해서 나는 아무것도(정말로..) 모르기 때문에 그걸 기준으로 작성했다. 일단 개발할 때 쓰는 보드(PCB라고함)안에 MCU가 있다.이때 이 MCU가 외부와 통신하기 위해서는 선으로 연결해서 통신해야한다. 라즈베리파이 그림을 가져왔는데, 저 초록색 보드가 PCB라고 보면 되고, 사진 상단에 찔리면 죽을거같은 가시밭길처럼 생긴게 커넥터라고 부르는 애다. 저 커넥터에 삐죽삐죽 튀어나온 가시들을 각각 핀이라고 부르게 된다. 그런데 저 핀들도 각각 역할이 있..

memory alias가 헷갈려서 한번 테스트해봤다 일단 normal world에서 QSIZE 레지스터에 0x1235460이라고 적고 secure partition에서 secure alias의 QSIZE를 출력해보았다static void alias_test(psa_msg_t*msg){ void* s_alias=ETHOS_U55_APB_BASE_S; //uint32_t test_ns=(((volatile struct NPU_REG*)ns_alias)->ID.word); uint32_t test_s=(((volatile struct NPU_REG*)s_alias)->QSIZE.word); //psa_write(msg->handle,0,&test_ns,msg->out_size[0]);//log psa_writ..
진짜 개빡친다 진짜 이해가 안가게 out_vec 몇개를 추가해서 secure partition에 넘겼더니 계속 psa call이 programmer error로 실수해서 몇시간을 날렸는데,보니까ㅋㅋ invec, outvec 포함해서 4개만 보낼 수 있다고 한다... 그걸 제가 어케 아냐고요...진짜 우연히 헤더파일 하나하나 보다가 발견함 ㄸ PSA_MAX_IOVEC이게 4로 설정되어있다 이거를 그래서 10으로 바꿨더니 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