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sieblue
article thumbnail
IMA 활성화하도록 Linux 빌드하는 법
카테고리 없음 2025. 3. 16. 19:04

Make Menuconfig일단 arch 설정하여 make menuconfig해준다 그러면 화면에서 security options를 찾아가서 Integrity Subsystem을 찾는다만약 integrity Subsystem항목이 없을 경우, Security Options의 Enable different security models를 활성화 해주고 다시 make menuconfig해주면 Intgerity Subsystem 항목이 나타난다 그러고 나서  Intgerity Subsystem에서 IMA 관련 설정을 켜주고 화면을 나간 후,원래 하던데로 linux를 빌드하면 된다!  menuconfig로 안하고 그냥 .config 파일에서 아래 부분 고쳐줘도 된다CONFIG_INTEGRITY=yCONFIG_IM..

qemu에 optee 올리는 명령어
카테고리 없음 2025. 3. 15. 21:27

까먹을까봐 정리해둠 make QEMU_VIRTFS_ENABLE=y QEMU_USERNET_ENABLE=y MEASURED_BOOT_FTPM=y run QEMU_VIRTFS_ENABLE=y QEMU_USERNET_ENABLE=y MEASURED_BOOT_FTPM=y  GDBSERVER=y  참고로 CFG_RPMB_FS=y  교훈:makefile을 잘 확인하자CFG_TEE_TA_LOG_LEVEL 도 설정하면 debug할떄 좋ㅇ므 https://optee.readthedocs.io/en/latest/building/devices/qemu.html

article thumbnail
ftpm 활성화한상태로 optee 빌드하는법 + 잘 되는지 확인
카테고리 없음 2025. 3. 15. 21:23

하 이걸 몰라 삽질했다common.mk뒤져보니까 ... 그냥 MEASURED_BOOT 이 태그만 활성화하면 자동으로 ftpm이 빌드되어서 optee에 추가된다;  참고로 밑에 ftpm 타겟 빌드할 때도 저 태그가 설정되어야지 빌드된다  아무튼 그냥 build 디렉토리에서 저 옵션 주면 된다!ftpm이 올라가면 NW에서 다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냥 내 피피티 캡쳐함

article thumbnail
[Buildroot] BR2_PACKAGE_ 설정 방법
카테고리 없음 2025. 3. 14. 23:38

Buildroot는 루트 파일시스템(rootfs)을 구성하는 여러 패키지를 자동으로 빌드하는 애다! 요즘 많이 쓰인다고 함보통 buildroot 설정에서 특정 패키지를 선택하면, Buildroot는 해당 패키지를 다운로드->패치->빌드->설치하는 과정을 거쳐 rootfs에 포함시키게 된다.자세한 흐름은 시간이 나면(과연) 포스트 하도록 하겠다... 요즘에 다시 노션으로 넘어갔는데 정리가 너~무 안돼서 다시 블로그로 넘어왔다.. --- BR2_PACKAGE_OPTEE_EXAMPLES  Buildroot는 빌드된 바이너리를 out-br/target/ 같은 곳에 복사해서 rootfs에 넣음rootfs 이미지(rootfs.cpio.gz)를 생성할 때 포함됨  설정은 어디에서 ?이런 설정은 보통 buildroot..

WSL에서 USB Storage 디바이스 연결하는 법
카테고리 없음 2025. 3. 5. 19:59

WSL에서 USB 저장장치가 /dev/sdX 꼴로 나타나게 하는 방법이다 일단 이 링크를 따라한다.https://github.com/jovton/USB-Storage-on-WSL2?tab=readme-ov-file GitHub - jovton/USB-Storage-on-WSL2: This article describes how you can access your USB storage device from Microsoft's WindowsThis article describes how you can access your USB storage device from Microsoft's Windows Subsystem for Linux 2 (WSL2) - jovton/USB-Storage-on-WSL2git..

리눅스는 디렉토리를 어떻게 일반 파일이 아니라 디렉토리라고 인식하는걸까?
카테고리 없음 2024. 6. 10. 19:56

사실 디렉토리 안에 파일들 이름들 저장되어있으니까(UNIX 파일시스템 기준), 실제로 디렉토리 안의 contents을 읽어보고 싶어졌다. (ls 말고...) 그런데 cat이나 xxd등의 일반 읽기 명령어로 읽으려고 하면 계속 ~~is directory가 뜨고 안됐다ㅜㅜ(참고로 vi로는 읽을 수 있었는데 얘가 디스크에 있는 ㄹㅇ 찐 컨텐츠 자체를 읽는건 아닌듯 근데 암튼 이것도 신기하긴 했음) 그래서 찾아봤더니, inode에 파일의 형식이 저장되어있다고 한다. 일반 파일: S_IFREG (0100000)디렉토리: S_IFDIR (0040000)심볼릭 링크: S_IFLNK (0120000)문자 장치 파일: S_IFCHR (0020000)블록 장치 파일: S_IFBLK (0060000)파이프(명명된 FIFO)..